04 Sep 2019
방통대 강의노트 (대중영화의 이해, 멀티미디어 시스템, 생활속의 경제)
대중영화의 이해 (영화의 역사)
미국영화의 사조
- 미국의 작은위기
- 메카시즘 논쟁, TV의 등장, 시작통합시스템의 붕괴
- 뉴할리우드 시대 (50~60년대)
- 수직통합시스템의 붕괴
- 제작, 배급, 상영을 독점할 수 없음
- 스튜디오의 힘이 약해지면서 영화 구성요소들의 힘이 강화됨
- 뉴시네마
- 형식, 내용적으로 독창적
- 데니스 호퍼 (이지 라이더)
- 아서 펜 (우리에게 내일은 없다)
- 블록버스터: 거대예산이 들어간 큰 영화
아시아 영화
- 일본영화의 거장
- 홍콩의 뉴웨이브 (70년대)
- 대만의 뉴웨이브
- 산업적인 측면과 예술적인 측면의 부조화
- 허우 샤오시엔
- 에드워드 양
- 80년대 중국의 5세대영화
- 민초들의 삶을 중국 고유의 무대에서
- 이념으로 부터 탈피
- 1~4세대 영화: 국가의 이념을 내세운 영화
- 대표감독
- 첸 카이거 (패왕별희), 장이머우 (붉은 수수밭), 티엔 주앙주앙
디제시스
- 핍진성
- 영화는 현실을 담고있지만 허구를 동시에 구축하고 있다
디지털영화
제작, 배급, 상영등 여러 단계중 한가지 이상이 디지털로 이루어진 영화
- 시초: 존길러민 (킹콩), 스티븐 리스버거 (트론), 피라미드의 공포.
- 제임스 캐머런
- 어비스 (최초의 컴퓨터 그래픽생물)
- 터미네이터2
- 토이스토리: 최초의 컴퓨터 애니메이션
- 정의방식
- 콘텐츠: 디지털 캐릭터 등
- 커뮤니케이션: 디지털로 상영됨
- 제작방식: 소형/저가의 디지털 장비로 제작
멀티미디어 시스템 (멀티미디어 데이터: 사운드)
- 물리적 진동인 음파의 개념, 음악/목소리/단순한 소리 등을 의미
- 오디오
- 라디오, 텔리비전 따위의 소리부분
- 음악 등을 효과적인 소리로 듣기위한 장치를 통칭
- 음파: 진폭(중앙선과 최고점/최저점의 높이)과 주기(중앙선에서 시작해서 파형의 위쪽과 아래쪽을 지나 다시 중앙선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)로 구성
- 주파수: 단위 시간당 사이클의 수 1/주기 = 주파수
- 아날로그 사운드
- 실제 세상에서 듣는 소리
- 음색, 음의 크기(진폭), 음의 높이(주파수)로 구성
- 음의 크기
- 단위는 데시벨
- 0db: 사람이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소리
- 음의 높이
- 주파수가 높을 수록 높은 음
- 가청 주파수 20~20kHz
- 음색
- 사람이 사운드를 서로 다르다는 것으로 구분하는 특징
- 진폭, 주파수에 의해 결정
- 디지털 사운드
- 사운드가 디지털로 표현되고 저장된 것을 의미
- 원음의 손실 발생
사운드의 변환
- ADC, DAC를 이용
- 아날로그 신호
- 신호의 크기를 미세한 단위로 조정
- 잡음에 의해 신호가 변함
- 디지털 신호
- 불연속적인 값의 단계
- 디지털 장비에서는 디지털 신호외에는 처리불가능
- 아날로그 -> 디지털
- 샘플링
- 아날로그 파형을 일정하게 쪼개어 각 지점의 값을 차례로 끄집어 내는 작업
- 쪼개진 값을 샘플 이라고 함
- 샘플링 비율 (1초동안 취한 샘플의 수)
- 샘플링 비율이 클수록 고음질
- 높을수록 데이터양도 증가
- 나이퀴스트 정리(원래의 아날로그신호를 재현하기 위해서는 신호의 최고 주파수의 2배이상을 샘플링해야 함)
- 양자화
- 샘플링된 신호의 크기들을 이산적으로 근사화시키는 과정
- 양자화 오차 (양자화 잡음)
- 원래 신호화 양자화 신호와의 오차
- 품질저하의 원인
- 부호화
- 양자화된 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2진 정보로 표현
- 8비트 부호화
- 샘플당 8비트, 256단계로 양자화
- 최고점과 최저점사이를 256개의 간격으로 나눈다는 의미
- 품질과 경제성을 고려함 (일반적으로 8/16비트 부호화)
- 음성신호는 PCM으로 변환되어 샘플비트수를 PCM 워드라고 함
- 디지털 사운드의 특징
- 샘플링 크기
- 샘플링 비율 (샘플링 주파수)
- 채널의 수
- 동시에 들리는 사운드의 갯수
- 모노/스테레오(2개 이상)
- PCM
- 소리를 디지털화하는데 이용되는 대표적 방법
- 입력값을 그대로 저장
- 양자화 하여 PAM신호로 만든다음 디지털 레벨의 비트수만큼 2진 코드열로 변환
- DPCM (Differential PCM)
- 개선된 PCM방식
- 서로 인접한 샘플링 시점의 파형을 비교해볼때 그게 변하지 않는다는 사릴에 착안
- 이전 값과의 차이만을 저장 -> 데이터량이 줄어듬
- ADPCM
- DPCM 방식을 개선
- 신호차이가 클 경우 DPCM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개선
- 예측 부호화 방식
- 디지털 오디오
- 오디오 파일의 크기 = 샘플링 크기 (byte) x 샘플링 비율 x 채널 수 x 시간 (초)
- 손실/무손실 압축
- 파일형식: WAV, AU, AIFF(Mac), RealAudio(스트리밍 오디오 형식), ASF(소리와 영상을 담는 스트리밍 미디어)
- 편집 소프트웨어
- 미디
- 디지털 음악에 대한 국제표준
- 시퀀서: 멀티트랙리코더를 시뮬레이션
- 노테이션 프로그램 (스코어): 시퀀서 데이터를 악보데이터로 변환
- 보이싱 프로그램: 특정 신시사이저의 음색을 새로만들거나 편집
- 파일형식: SMF, RMI, MOD
생활속의 경제 (시장교환의 장점)
- 개인간 교환행위
- 자본주의 시장경제체제에서 자발적 교환행위
- 가격 > 생산원가, 가격 < 효용
- 생산자 잉여 vs 소비자 잉여
- 교환의 이득(사회후생) = 생산자 잉여 + 소비자 잉여
- 교환 없으면 잉여도 없음
- 국가간 교환행위 (국제무역)
- 양국의 상호이득을 위한 자발적 교환행위
- 상대국 보다 작은 기회비용이 드는 품목은 수출, 큰 기회비용이 드는 품목은 수입
- 수출의 경우 국내 생산자 잉여가, 수입의 경우 국내 소비자 잉여가 증대
- 지불수단은 기축통화(국제시장에서 널리 통용되는 화폐)
- 국가간 무역격차(국제수지)의 조정문제 발생
생산가능곡선
주어진 생산자원으로 생산가능한 재화나 서비스의 조합을 보여주는 그래프
- 생산표
- 주어진 생산자원으로부터 최대로 생산할 수 있는 재화나 서비스의 조합
비교우위
한 개인, 기업, 국가가 어떤 상품을 다른 생산자들에 비해 더 낮은 기회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
- 특화화 교환을 통한 상호이득
- 교환이 없을때 도달불가능했던 소비가능
- 무역은 절대우위가 아닌 비교우위에 의해 이루어짐
Facebook Google+